맨위로가기

도쿠가와 다다나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다다나가는 에도 막부의 무장으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셋째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뛰어났으나, 형인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쇼군으로 지명되면서 고후 번주로 봉해졌다. 이후 행실 문제로 칩거, 유언비어 유포 혐의로 개역된 후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루가국의 번주 - 도쿠가와 요리노부
    도쿠가와 요리노부는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남으로 태어나 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시조가 되었으며, 여러 번의 영주를 거쳐 기슈 번의 번주로서 번의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 스루가국의 번주 - 도쿠가와 이에사토
    도쿠가와 이에사토는 1868년 도쿠가와 종가의 16대 당주가 되어 슨푸 번주, 시즈오카 지번사를 거쳐 영국 유학 후 귀족원 의원, 귀족원 의장을 역임하며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 참여하고 일본 적십자사 총재 등을 지내다 1940년 사망했다.
  • 고후번주 - 도쿠가와 요시나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홉 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시나오는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초대 당주로서, 오와리 번주 재임 동안 경제 발전, 문화 사업, 무예 연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고후번주 - 도쿠가와 쓰나시게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아들이자 고후 번주였던 도쿠가와 쓰나시게는 영지 확장과 치수 사업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도쿠가와 이에노부는 6대 쇼군이 되었으며, 쓰나시게는 능력과 균형 감각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는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자녀 - 도요토미 사다코
    도요토미 사다코는 도요토미 히데카쓰의 딸로 태어나 요도도노의 양녀가 되었으며, 구조 유키이에와 결혼하여 기타노만도코로가 되었고, 오사카 전투 이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가 되어 공가와 무가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다가 1658년에 사망했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자녀 - 호시나 마사유키
    호시나 마사유키는 에도 막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로, 다카토 번주 호시나 마사미쓰의 양자가 되어 데와 야마가타 번과 무쓰 아이즈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막부의 중책을 맡아 주자학을 숭상하고 재해 구제에 힘썼다.
도쿠가와 다다나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쿠가와 다다나가
도쿠가와 다다나가 (다이신지 소장)
시대에도 시대 전기
출생게이초 11년(1606년)
사망간에이 10년 음력 12월 6일(1634년 1월 5일)
개명구니마쓰(国松), 구니치요(国千代), 기타노 마루도노(北丸殿) → 다다나가(忠長)
별명스루가노 다이나곤(駿河大納言), 다다쿠니(忠国)
계명호간인덴젠아상세이테쓰교운다이코지(峰巌院殿前亜相清徹暁雲大居士)
묘소군마현다카사키시 도리마치의 다이신지
관위종4위하 산기 사코노에곤추조(従四位下参議左近衛権中将), 종3위 곤추나곤(従三位権中納言), 종2위 곤다이나곤(従二位 権大納言)
씨족도쿠가와 씨 (장군가 → 스루가 가문)
가계
아버지도쿠가와 히데타다
어머니도요토미 다쓰코
형제센히메, 다마히메, 가쓰히메, 나가마루, 하쓰히메, 이에미쓰, 다다나가, 마사코, 도요토미 사다코(이부 자매), 호시나 마사유키(이복 동생)
배우자정실: 쇼코인(오다 노부요시의 장녀)
자녀알려진 자녀 없음
정치 경력
막부에도 막부
주군불명
가이고후번 번주 → 스루가슨푸번 번주

2. 생애

게이초 11년(1606년) 에도성 니시노마루(西の丸)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오에요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명은 '''구니마쓰'''(国松) 또는 구니치요(国千代)였다. 용모가 뛰어나고 활발하여 부모의 편애를 받았으나, 할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결정으로 형 다케치요(훗날의 이에미쓰)가 후계자로 정해졌다. 일설에는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 쓰보네의 직소(直訴)가 영향을 미쳤다고도 한다.

겐나 2년(1616년) 혹은 4년(1618년) 9월, 고후 23만 8천 석을 받아 고후번의 번주가 되었고, 이후 시나노국 고모로번도 영지에 포함되었다. 겐나 6년(1620년) 9월, 형과 함께 관례를 치르고 '''다다나가'''(忠長)로 개명했다. 겐나 9년(1623년) 7월, 형 이에미쓰가 3대 쇼군으로 취임하자 다다나가도 종3위 곤추나곤에 임명되었다.

간에이 원년(1624년) 7월에는 스루가국도토미국 일부가 영지에 추가되어 총 55만 석의 대영주가 되었고, '스루가 다이나곤'(駿河大納言)으로 불리게 되었다. 간에이 3년(1626년)에는 정3위 곤다이나곤으로 승진했다. 오다 노부나가의 손녀인 마사코(쇼코인)와 혼인했다.

그러나 점차 행실 문제로 형 이에미쓰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간에이 8년(1631년) 5월, 막부로부터 행실 불량을 이유로 고후에서의 근신 명령을 받았다.[6] 사면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듬해 아버지 히데타다가 사망한 후 유언비어 유포 등을 이유로 개역 처분을 받아 영지와 관직을 모두 박탈당했다.[1] 그의 측근 가신들도 연좌되어 처벌받았다.

결국 간에이 10년(1633년) 12월 6일(1634년으로 보는 기록도 있음[1]), 막부의 명령에 따라 고즈케국 다카사키에서 할복하였다.[7] 향년 29세였다.

다다나가는 외모가 외외숙부인 오다 노부나가나 사촌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닮았다는 설이 있으며, 마쓰다이라 조시치로(松平長七郎)라는 아들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나 공식 기록에는 자식이 없다.

연도내용
1606년도쿠가와 히데타다오에요의 아들로 에도성에서 출생. 아명 구니마쓰(国松) 또는 구니치요(国千代).
1618년 (추정)고후번 번주(23만 8천 석) 임명.
1620년관례 후 다다나가(忠長)로 개명.
1623년종3위 곤추나곤 임명.
1624년스루가국, 도토미국 일부 추가 영지로 받아 총 55만 석 영주가 됨.
1626년정3위 곤다이나곤 승진. 가신 살해 등 폭력 행위 시작.
1631년행실 불량으로 고후에서 근신 명령 받음.[6]
1632년아버지 히데타다 사망 후 개역 처분, 모든 영지와 관직 박탈.
1633년 (또는 1634년)다카사키에서 할복 명령받고 사망 (향년 29세).[7][1]


2. 1. 유년기

게이초 11년(1606년) 에도성 니시노마루(西の丸)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아사이 나가마사의 셋째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인 오에요이다. 아명은 '''구니마쓰'''(国松) 또는 구니치요(国千代)로 불렸다. 생일에 관해서는 5월 7일, 6월 1일, 12월 3일 등 여러 설이 존재하는데, 『다이일본사료』 등에서는 여러 설을 소개하면서 6월 1일 설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2] 유모는 도이 도시카쓰의 의누이이자 아사쿠라 노부마사(朝倉宣正)의 아내인 아사쿠라노 쓰보네(朝倉局)가 맡았다.

다다나가는 병약하고 말을 더듬었던 형 다케치요(竹千代, 훗날의 도쿠가와 이에미쓰)에 비해 용모가 뛰어나고 성격이 활발하여 아버지 히데타다와 어머니 오에요의 편애를 받았다고 한다. 특히 어머니 오에요는 자신의 외숙부인 오다 노부나가와 용모가 닮은 다다나가를 더욱 아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부모의 편애 때문에 다다나가를 차기 쇼군으로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고, 이는 이에미쓰 지지파와의 후계자 다툼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할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장자 상속 원칙을 확립하여 후계자 분쟁을 막고자 했고, 결국 다케치요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일설에는 다케치요의 유모였던 가스가노 쓰보네가 이에야스에게 직접 호소(直訴)하여 이러한 결정이 내려지는 계기가 되었다고도 한다. 이에야스는 다다나가에 대한 어머니 오에요의 지나친 애정을 염려하여 "구니치요는 영리해 보이지만, 칭찬만 하면 제멋대로 자란다. 제멋대로 굴면 몸을 망칠 수 있으니 주의하여 교육하라"는 내용의 훈계장을 보내기도 했다.

도쿠가와 히데타다로부터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아 마쓰다이라를 칭했다. 도쿠가와 성이 허락되어 쇼군가에 후사가 없을 경우 계승권을 가졌던 숙부 도쿠가와 요시나오, 도쿠가와 요리노부와는 달리, 이 시점의 다다나가에게는 아직 그러한 지위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

겐나 2년(1616년) 혹은 겐나 4년(1618년) 9월, 고후 23만 8천 석을 하사받아 고후번의 번주가 되었다. 이후 시나노국 고모로번 또한 영지에 포함되었다. 번주로 취임할 즈음에는 아직 관례도 치르지 않은 어린 나이였기에 실제 번의 경영에 참여하지는 않았고, 영지 운영은 유모의 남편 아사쿠라 노부마사를 비롯해 군나이 지방(郡内地方)을 다스리던 도리이 나리쓰구(鳥居成次), 다케다씨의 유신(遺臣) 및 오쿠보 나가야스 휘하의 다이칸(代官) 등으로 구성된 가신단이 대행했다.

겐나 6년(1620년) 9월 형 다케치요와 함께 관례를 치르고 각각 이에미쓰(家光)와 다다나가(忠長)로 개명하였다.

겐나 4년(1618년) 10월 9일, 다다나가는 아버지를 기쁘게 할 생각으로 자신이 사냥한 오리로 국을 끓여 올렸다. 그러나 그 오리가 형 이에미쓰가 거처하는 니시노마루의 해자에서 잡은 것임을 알게 된 히데타다는 크게 분노했다. 히데타다는 "에도성은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께서 수축하신 것이고, 후에 이에미쓰에게 넘겨줘야 할 곳이다. 구니치요(다다나가)의 몸으로 형인 이에미쓰가 살고 있는 니시노마루에 총을 쏘는 것은 천도(天道)에 어긋나고 아버지 이에야스에 대한 배려도 없는 것이며, 설령 악의가 없더라도 쇼군이 될 이에미쓰에 대한 반역과 같다"고 꾸짖으며 젓가락을 던져 버리고 그 자리를 떠났다고 한다(아라이 하쿠세키 저, 『반한보』).

일설에는 다다나가의 얼굴이 사촌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닮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그를 미워하고 경계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2. 2. 고후 번주 시절

겐나 2년(1616년) 혹은 겐나 4년(1618년) 9월, 고후 23만 8천 곡을 하사받아 고후번주가 되었다. 이후 시나노국 고모로번 또한 영지에 포함되었다. 번주로 취임할 당시에는 아직 원복을 치르지 않은 어린 나이였기에, 유모 아사쿠라노 쓰보네의 남편인 아사쿠라 노부마사를 비롯해 군나이 지방을 다스리던 도리이 나리쓰구, 다케다씨의 유신(遺臣)인 오쿠보 나가야스 휘하의 다이칸 등으로 구성된 가신단이 영지의 운영을 실질적으로 담당했다.

겐나 6년(1620년) 9월, 형 다케치요와 함께 원복을 치르고, 킨치인 스덴의 선정에 따라 를 '''다다나가'''(忠長)로 정했다. 겐나 8년(1622년)에는 에도성 혼마루 확장 공사로 인해 거처를 기타노마루로 옮겼는데, 새로 지어진 저택은 고산케의 저택에 버금갈 만큼 웅장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에도도병풍』에도 묘사되어 있다. 같은 해 8월, 센고쿠 다다마사가 이봉된 후 시나노국 사쿠군 6만 석과 아즈미군 일부를 추가로 받았다.

겐나 9년(1623년) 7월, 형 이에미쓰가 3대 쇼군으로 취임하자 다다나가도 종3위 곤추나곤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 7일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손자인 오다 노부요시의 딸 마사코(쇼시)와 혼인했다.

간에이 원년(1624년) 7월, 스루가국도토미국 일부(가케가와번 영지)가 영지에 추가되어 총 55만 곡의 대영주가 되었다. 이 무렵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연고지인 스루가를 다스린다는 점에서 주변 다이묘들로부터 '''스루가 다이나곤'''(駿河大納言)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다다나가는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아버지 히데타다에게 100만 석 영지 또는 오사카성 성주 자리를 요구했으나, 히데타다는 이를 터무니없다고 여겨 무시했다. 이 일로 다다나가는 아버지에게 실망감을 느꼈고, 형 이에미쓰는 과거 도요토미 가문의 거성이었던 오사카성을 탐내는 다다나가에게 모반의 의지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되었다. 막부 신료들 또한 다이묘들에게 추앙받는 다다나가를 보며 '마치 쇼군이 두 명 있는 것 같다'고 우려하며 경계하게 되었다.

간에이 3년(1626년)에는 정3위 곤다이나곤으로 승진했으며, 고미즈노오 천황니조성 행차에도 이에미쓰를 따라 참여했다. 이 시기, 이복동생인 호시나 마사유키에게 이에야스의 유품인 아오이 문양이 들어간 물품을 하사하고 마쓰다이라 성씨 복성을 권유하기도 했다는 기록이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계』에 남아있다. 하지만 같은 해 어머니 오에요가 사망하면서 최대 후원자를 잃은 다다나가는 점차 술에 빠지고 문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며 이에미쓰와의 갈등이 깊어졌다.

같은 해 7월, 이에미쓰의 교토 방문(조락)이 결정되자 오이가와에 배다리를 놓았는데, 막부의 중요 방어 거점인 오이가와에 허가 없이 다리를 건설한 것이 문제되어 이에미쓰의 불쾌감을 샀다. 또한 슨푸(현 시즈오카시)에서 무가 저택 조성을 위해 절과 신사를 이전하려다 반발에 부딪히는 등 마찰을 빚었다.

간에이 7년(1630년) 11월, 시즈오카 아사마 신사 인근 센겐산(賤機山)에서 원숭이 사냥을 감행했다. 이곳은 살생이 금지된 신사의 영역이었고, 특히 센겐산의 원숭이는 신의 사자로 여겨져 살해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다. 더욱이 아사마 신사는 조부 이에야스가 원복을 치른, 도쿠가와 종가에게 매우 신성한 장소였다. 신관들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다다나가는 스루가 영주로서 밭을 망치는 원숭이를 구제한다는 명목으로 사냥을 강행하여 1,240마리의 원숭이를 죽였다고 전해진다. 사냥 후 돌아오는 길에는 자신의 가마를 메던 인부의 엉덩이를 와키자시로 찔러 살해하는 난행까지 저질러, 이 소식을 들은 이에미쓰를 격노케 했다.

간에이 8년(1631년) 12월에는 매사냥 중 폭설로 절에서 쉬던 중, 소성(小姓) 고하마 시치노스케(小浜七之助)가 젖은 장작에 불을 붙이지 못하자 격분하여 그를 베어 죽였다. 이에 분노한 시치노스케의 아버지가 막부에 호소하면서 다다나가의 수많은 난행이 드러나게 되었고, 결국 이에미쓰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랐다. 다른 기록에 따르면, 다다나가는 술에 취해 가신 고하마 미쓰타카의 아들과 승려를 살해하고, 후견인 나이토 마사카쓰를 갑옷 차림으로 쫓아다니거나, 살해한 머리 깎은 아이의 시신을 개에게 먹이고, 시녀를 고문하여 죽이는 등 잔혹한 행위를 일삼았다고 한다. 당시 호소카와 다다토시는 이러한 다다나가의 행동이 단순한 주정(酒亂)이 아니라 정신 이상(發狂)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기록하고 있다.[1] 현대 연구자들은 조현병과 같은 정신 질환으로 인한 환각이나 망상이 이러한 흉행의 원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결국 간에이 8년(1631년) 5월 18일, 막부로부터 행실 불량을 이유로 고후에서의 근신 명령을 받았다.[6] 다다나가는 아버지 히데타다의 측근인 곤치인 스덴 등을 통해 사면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간에이 9년(1632년) 히데타다가 위독해졌을 때에도 에도 방문이 허락되지 않았으며, 일설에는 히데타다 본인이 면회를 거부했다고도 한다.

히데타다 사후인 간에이 9년(1632년) 10월 20일, 유언비어를 유포했다는 명목 등으로 결국 개역 처분을 받아 모든 영지와 관직을 박탈당하고 고즈케국 다카사키의 안도 시게나가에게 넘겨져 유폐되었다. 이때 그의 가로였던 아사쿠라 노부마사와 도리이 나리쓰구 등 측근들도 연좌되어 함께 개역되었다. 개역의 이유로는 다다나가의 난행 외에도, 이에미쓰와의 후계자 다툼에서 비롯된 계획적인 제거라는 설도 존재한다.

2. 3. 스루가 번주 시절

간에이 원년(1624년) 7월, 다다나가스루가국도토미국의 일부(가케가와번 영지)를 추가로 받아 총 55만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이 무렵부터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고향인 스루가를 다스린다는 점 때문에 주변 다이묘들로부터 '''스루가 다이나곤'''(駿河大納言)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다다나가는 쇼군의 동생이라는 지위에 만족하지 못하고, 아버지인 오고쇼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100만 석을 주거나, 나를 오사카성의 성주로 삼아달라"고 요구했다. 히데타다는 이 요구를 터무니없다고 여겨 무시했고, 이 일로 다다나가는 아버지에게 실망하기 시작했다. 형 도쿠가와 이에미쓰는 다다나가가 과거 도쿠가와 가문과 적대했던 도요토미 가문의 거성이자 오사카 전투에서 함락시킨 오사카성을 탐내는 것을 보고 모반의 뜻이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되었다. 막부의 신료들 또한 여러 다이묘들에게 추앙받는 다다나가의 모습을 보며 "마치 쇼군이 두 명 있는 것 같다"고 평가하며 경계했다.

간에이 3년(1626년) 다다나가는 곤다이나곤으로 승진했고, 고미즈노오 천황니조성으로 행차할 때 쇼군 이에미쓰를 수행했다. 이 무렵 다다나가는 동생이자 훗날 아이즈 마쓰다이라가의 시조가 되는 호시나 마사유키에게 아오이 문장이 들어간 이에야스의 유품을 주고, 마사유키에게 마쓰다이라 성씨로 복귀할 것을 권유했다고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계』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같은 해 최대 후원자였던 어머니 가 사망하자, 다다나가는 점차 술에 빠지고 문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며 이에미쓰와의 갈등이 깊어졌다.

같은 해 7월, 이에미쓰의 교토 방문(上洛)이 결정되자 다다나가는 오이가와에 배다리를 설치했다. 하지만 막부의 중요한 방어 거점인 오이가와에 허가 없이 다리를 놓은 것이 문제시되어 이에미쓰의 불쾌감을 샀다. 또한 슨푸에서는 무가 저택 조성을 위해 절과 신사를 교외로 이전하려다 반대에 부딪혀 이에미쓰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간에이 7년(1630년) 11월, 다다나가는 시즈오카 아사마 신사 근처의 센겐산에서 원숭이 사냥을 벌였다. 이곳은 살생이 금지된 신사의 경내였고, 센겐산의 원숭이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져 죽이는 것이 금기시되었다. 더욱이 이 신사는 할아버지 이에야스가 원복을 치른 곳으로 도쿠가와 종가에게도 신성한 장소였다. 신주들이 사냥 중지를 간청했지만, 다다나가는 자신이 스루가 영주이며 밭을 망치는 원숭이를 퇴치한다는 명분으로 반대를 무릅쓰고 사냥을 강행하여 1,240마리의 원숭이를 죽였다고 전해진다. 돌아오는 길에는 가마꾼의 엉덩이를 와키자시로 찔러, 놀라 도망치는 그를 살해하는 난행까지 저질렀다. 이 소식을 들은 이에미쓰는 크게 분노했다.

간에이 8년(1631년) 12월, 매사냥 중 눈이 내려 절에서 쉬던 다다나가는 시종(소성) 고하마 시치노스케가 젖은 장작에 불을 붙이지 못하자 격분하여 그를 베어 죽였다. 아들의 죽음에 분노한 시치노스케의 아버지가 막부에 호소하면서, 다다나가의 수많은 난행이 드러나 결국 이에미쓰의 인내심을 넘어서게 되었다.[1]

이 시기 다다나가가 거주했던 스루가 다이나곤 저택은 에도성 혼마루 북서쪽에 위치했으며, 17세기 『에도도병풍』에도 고산케 저택에 버금가는 웅장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2. 4. 몰락과 죽음

간에이 8년(1631년) 5월, 다다나가는 행실이 좋지 못하다는 이유로 막부로부터 영지인 고후에서 칩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6] 그는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측근인 곤치인 스덴 등을 통해 사면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듬해인 간에이 9년(1632년), 아버지 히데타다가 위독했음에도 에도 방문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같은 해 히데타다가 사망하자, 형이자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미쓰는 다다나가가 유언비어를 유포했다는 명분을 내세워[1] 모든 관직과 영지를 박탈하는 개역 처분을 내렸다. 이때 그의 최측근 가신이었던 아사쿠라 노부마사와 도리이 나리쓰구 또한 연좌되어 함께 개역되었다.

결국 간에이 10년(1633년) 12월 6일, 막부의 명령에 따라 다카사키의 다이신지에서 할복하였다.[4] 이때 향년 28세였다는 기록[4]과 29세였다는 기록[7]이 있으며, 할복 시기를 1634년으로 보는 기록도 있다.[1]

다다나가가 죽은 지 43년이 지난 엔포 3년(1675년), 그의 묘가 다이신지에 세워졌다.[4] 이 묘는 1966년(쇼와 41년) 4월 20일, 다카사키 시 지정 사적이 되었다.[4] 절에는 다다나가가 사용했던 벼루, 할복에 사용한 단도, 직접 쓴 편지 등이 위패와 함께 보존되어 있다.[4]

2. 5. 사후

간에이 8년(1631년) 5월, 행실이 좋지 못하다는 이유로 바쿠후로부터 칩거 명령을 받고 영지인 고후로 추방되었다.[6] 부친 히데타다의 측근이었던 스덴 등을 통해 사면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듬해인 간에이 9년(1632년) 히데타다가 중태에 빠졌음에도 에도 방문이 허용되지 않았다.

히데타다가 사망한 후, 형인 쇼군 이에미쓰는 다다나가가 유언비어를 유포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개역 처분을 내리고 영지를 몰수했다. 또한 다다나가를 정신 이상으로 고발하고 모든 재산과 관직을 박탈하였다.[1] 이때 최측근 가신이었던 아사쿠라 노부마사와 도리이 나리쓰구 또한 연좌되어 개역 처분을 받았다.

결국 간에이 10년(1633년) 바쿠후로부터 자결을 명령받아 향년 29세로 사망하였다.[7][1]

사후 다다나가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 외모가 어머니 고우의 외숙부인 오다 노부나가와 특히 흡사하였다는 설이 있다.
  • 사촌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얼굴이 비슷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다나가를 미워하고 두려워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마쓰다이라 조시치로(松平長七郎)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공식적인 자료에는 자식이 없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오에요(스겐인)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훗날 제3대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이다. 어릴 적 이름은 구니마쓰(国松)였다.[1] 병약했던 형 이에미쓰(당시 다케치요)와 달리 용모가 뛰어나고 성격이 활발하여 부모, 특히 어머니 오에요의 편애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이 때문에 오에요는 장남 이에미쓰 대신 차남 다다나가(당시 구니마쓰)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나, 할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후계자 다툼을 막기 위해 장자 상속 원칙을 내세워 이에미쓰를 후계자로 결정했다. 일설에는 이에미쓰의 유모였던 가스가노 쓰보네가 이에야스에게 직접 호소하여 이에미쓰가 후계자가 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도 한다.

도쿠가와 다다나가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도쿠가와 이에야스에도 막부 초대 쇼군
아버지도쿠가와 히데타다에도 막부 제2대 쇼군
어머니오에요 (스겐인)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오다 노부나가의 조카
도쿠가와 이에미쓰에도 막부 제3대 쇼군
정실마사코 (昌子, 쇼코인, 1614–1690)오다 노부요시의 딸 (오다 노부카쓰의 손녀, 오다 노부나가의 증손녀)
측실불명다이신지(大信寺) 과거장에 3명의 기록이 있어 존재 추정[5]
자녀없음 (공식 기록상)마쓰다이라 나가시치로(나가요리)라는 아들이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사촌 마쓰다이라 타다나오의 아들 나가미 나가요리와 혼동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료상 확인되지 않음.



정실은 오다 노부나가의 손자인 오다 노부요시의 딸 마사코(昌子, 쇼코인)이다. 이는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다카사키시의 고쿠라쿠지에는 다다나가의 묘비와 함께, 조오 3년(1654년) 정월 21일에 55세로 사망했다는 '마츠(松)', 속명 '요시이 고시(吉井庚子)'라는 인물의 묘비가 다다나가의 정실로서 존재한다.

측실의 존재는 다이신지(大信寺)의 과거장에 원호(院殿号)가 붙은 다다나가의 측실로 보이는 인물이 3명 기록되어 있어 추정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5]

자식으로는 마쓰다이라 나가시치로(나가요리)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이는 사촌인 마쓰다이라 타다나오가 유배지에서 얻은 아들 나가미 나가요리와 혼동된 것으로 보이며, 다다나가에게 친자가 있었다는 사실은 사료상 확인되지 않는다.

외모에 대해서는 어머니 스겐인의 외숙부인 오다 노부나가와 특히 닮았다는 설이 있다. 또한 사촌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얼굴이 닮아서 할아버지 이에야스가 다다나가를 미워하고 경계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4. 연표

※ 날짜는 모두 구력 기준
연도 (일본 연호)날짜 (구력)사건
1606년 (게이초 11년)도쿠가와 히데타다스겐인의 아들로 에도성 니시노마루에서 탄생. 아명은 구니마쓰(国松).
1618년 (겐와 4년)1월 11일가이국 고후번 번주로 임명 (23만 8천 석). 이후 시나노국 고모로번도 영지에 포함됨.
1620년 (겐와 6년)9월관례를 치르고 이름을 다다나가(忠長)로 개명함.
1620년 (겐와 6년)8월 22일종4위 하 산기, 사콘에 중장에 서임됨.
1623년 (겐와 9년)7월 27일종3위 주나곤에 서임됨.
1624년 (간에이 원년)7월스루가, 도토미 일부 영지 추가 (총 55만 석).
1626년 (간에이 3년)8월 19일종2위 곤다이나곤에 서임됨 (스루가노 다이나곤).
1626년 (간에이 3년)가신을 살해하고 기타 폭력 행위를 저지름.
1631년 (간에이 8년)5월행실 불량을 이유로 막부로부터 영지인 고후에서의 칩거 명령을 받음.[6]
1632년 (간에이 9년)10월 20일개역 처분을 받아 영지를 몰수당하고 관직을 박탈당함.
1633년 (간에이 10년)12월 6일막부의 명령으로 고즈케국 다카사키 유배지에서 할복함 (향년 28세).[7]


5. 주요 가신


  • 아사쿠라 노부마사(부(附) 가로, 아사쿠라 노부치카가 계승)
  • 토리이 나리쓰구(부(附) 가로, 토리이 타다후사가 계승)
  • 야시로 히데마사(부(附) 가로, 야시로 타다마사가 계승)
  • 이나바 마사토시
  • 마쓰다이라 타다카쓰 - 오반시(大番士) 중에서 쇼군 히데타다에 의해 동료 53명과 함께 선발되어 다다나가를 섬김.
  • 사에구사 모리마사
  • 아리마 요리쓰구
  • 나이토 마사요시
  • 미즈노 가쓰노부
  • 마쓰노 시게모토
  • 아사이 미치다
  • 키무라 도모시게
  • 토키 요리야스(하타모토 토키 요리쓰구의 셋째 아들)
  • 야마나 토요하루 - 초명은 토요노부(豊信), 효고. 다다나가 개역 시 아들과 함께 나이토 타다오키에게 맡겨짐. 아들은 타다오키를 섬김.
  • 야마다 시게쓰구
  • 마쓰다이라 마사토모
  • 하라 시게히사 - 하라 토라타네의 넷째 아들 시게타네의 자식. 다다나가를 섬겨 다이칸(代官)이 됨. 다다나가 개역에 연좌되어 아들 시게쿠니와 함께 추방되었지만, 간에이 13년 (1636년) 12월 10일 사면되어 고케닌 격으로 오반(大番)에 편입됨. 간에이 15년 (1638년) 12월 1일, 록 200 표를 하사받아 하타모토에 편입됨.
  • 오쿠보 타다히사 - 쇼겐(将監). 다다나가 개역 후 아들 초지로와 함께 다른 가문에 맡겨짐.
  • 오키쓰 나오마사
  • 휴가 마사히사
  • 와타나베 타다시
  • 모리야마 모리하루 - 혼다 마사노부의 휘하에서 오사카 겨울·여름의 진에 출진. 그 후 다다나가에게 부속됨. 다다나가 개역 후 쇼군 이에미쓰를 섬김.
  • 센고쿠 히사카타 - 우효에(右兵衛)・스이몬. 다다나가를 섬겼지만, 동료에게 살해당해 후사가 없어 가문이 단절됨.
  • 호리 미쓰마사

6.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연기한 배우

도쿠가와 다다나가는 그의 극적인 삶과 비극적인 최후로 인해 여러 영화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주요 인물로 다루어졌으며, 많은 배우들이 그를 연기했다.

6. 1. 영화

연도배우작품명
1917년2대 오노에 마츠노스케『스루가 다이곤과 마부 지로키치』
1921년미카와 노부마츠『우츠노미야 츠리텐죠』
1929년2대 카타오카 사에몬『유리 네모토 대살기』
1930년쿠스노키 타케오『명창 혈진보』
1930년타카다 아츠시『마츠다이라 쵸시치로』
1931년라이 켄지로『처녀 손톱 점쟁이』
1935년츠바키 산시로『의인 쵸시치로』
1937년미즈시마 미치타로『우츠노미야 츠리텐죠』
1937년이치카와 쇼지로『요우키덴』
1938년치요다 카츠타로『야규 여행 일기』
1938년히다카 우메코『열녀 경염록』
1941년츠시마 케이치로『하타모토 은밀』
1941년코타카 타카시『하세가와 롯파의 이에미츠와 겐자』
1956년에하라 신지로『나가와키자시 봉행』
1957년츠무라 레이지『유키히메 칠변화』
1958년난조 신타로『유성 십자 베기』
1960년카타오카 히코자부로『하타모토 구렌타이』
1961년나카무라 카츠오『이에미츠와 겐자와 잇신 타스케』
1963년시마다 류조『대결』
1968년야마시로 신고『닌자의 만』
1978년사이고 테루히코『야규 일족의 음모』


6. 2. 텔레비전 드라마

wikitext

배우작품명연도방송국
사카구치 테츠야규 쥬베이1970년CX
오키타 슌이치잇신 타스케1971년CX
후나키 카즈오봄의 언덕길1971년NHK 대하 드라마
이토 타카시이에미츠가 간다1972년NTV
에모리 토오루닌법 카게로 찌르기1972년KTV
나카무라 아츠오에도를 벤다 아즈마 우콘 은밀장1973년TBS
타무라 마사카즈도쿠가와 삼국지1975년NET
니시다 켄야규 일족의 음모1978년KTV
니시다 켄야규 아바레 여행1980년ANB
스미이 쿄시 → 나가이 히데카즈도쿠가와의 여자들 (제1부)1980년CX
니시키노 아키라야규 쥬베이 아바레 여행1982년ANB
마에다 미츠호야규 신음류1982년TX
나카무라 킨시쵸지로 에도 일기 (제1부)1983년NTV
이이무라 타카시도쿠가와 이에야스1983년NHK 대하 드라마
이세 마사토 → 카네다 켄이치오오쿠1983년KTV
오기시마 신이치풍운 에도성 격동의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1987년TX
이와시타 켄토 → 하시모토 미츠나리 → 아메가사 토시유키 → 사이토 타카하루카스가노 츠보네1989년NHK 대하 드라마
쿠라타 테츠오이에미츠와 히코자에몬과 잇신 타스케1989년ANB
와타나베 신야 → 카네다 켄이치쇼군 이에미츠 시노비 여행1990년ANB
하세가와 테츠오쵸지로 에도 일기 (제3부)1990년NTV
타쿠마 신야규 쥬베이1990년TBS
3대 나카무라 하치노스케유랑의 사람·천하의 어의번 오오쿠보 히코자에몬1991년TBS
카자마 모리오간에이 풍운록 격돌! 지혜 이즈 대 유이 쇼세츠1991년NTV
와카야마 키이치로도쿠가와 무예장 야규 삼대의 검1993년TX
타카가와 유야이에미츠 암살 삼대 쇼군에 다가오는 수수께끼의 암살 군단!1995년ANB
무카에 류카 → 이마무라 유타 → 이이즈카 쿄헤이 → 타카스기 미즈호아오이 도쿠가와 삼대2000년NHK 대하 드라마
나가시마 히로타카 → 하마다 마나부오오쿠 제1장2004년CX
나가시마 히로타카오오쿠 제1장 스페셜2005년CX
와카바야시 히사야야규 쥬베이 7번 승부2005년NHK
히비 료토 → 카이토 켄천하 소란~도쿠가와 삼대의 음모2006년TX
마츠다 유키 (목소리)시구루이 (애니메이션)2007년WOWOW
마츠시마 카이토 → 이시가키 유마야규 일족의 음모2008년EX
테라오카 슈타로 → 마츠시마 카이토 → 이마가와 토모유키고 ~공주들의 전국~2011년NHK 대하 드라마


참조

[1] 서적 The Dog Shogun
[2] 서적 江の生涯
[3] 간행물 流行病と忠長凶行の原因
[4] 웹사이트 徳川忠長の墓 附 忠長の霊牌その他 https://www.city.tak[...] 高崎市 2023-03-10
[5] 간행물 上州路
[6] 문서 추방 이유
[7] 문서 자결 이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